사주에서의 격국(格局)은 그 사주(四柱)의 갖추어진 상(象)이다. 좋은 상이던, 나쁜 상이던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상(象)은 확실하다. 그 사주의 체(體)이다. 어떠한 경우는 체(體)와 용(用)이 동시에 같은 상(象)을 나타내고, 또 어떤 경우는 완연히 다른 상(象)을 나타내기도 한다. 우리가 애용하는 버섯의 경우를 예로 보자.
보기는 화려해도 잘못 먹으면 인명(人命)을 살상(殺傷)하는 독버섯도 있다.
약(藥)도 좋은 약이라도, 지나친 남용(濫用)을 금하는 것은 왜일까?
잘못 알고, 알면서도 자제(自制)못하면 항상 문제가 생긴다.
격국(格局)도 마찬가지다. 몰라도 문제가 생기는 것이고, 알아도 잘못 사용하면 탈이 난다. 격국(格局)의 분류에 있어서 정확(正確)한 판단(判斷)이 필요하다.
어떻게, 어떠한 기준(基準)으로 판단(判斷) 할 것인가?
분류(分類)에서 혼란(混亂)이 온다면, 결과가 암담(暗澹)한 것이다.
격국(格局)의 종류(種類), 분류(分流).
격국(格局)은 그 종류가 하도 많아 일일이 나열하기도 힘든 정도다. 사람도 생김새나, 성격이나, 행동이나 기타 여러 가지 면으로 본다면 각양각색이다. 어느 한 부분을 딱 집어서 저 사람은 이런 사람이다. 라고 단정적(斷定的)으로 이야기하기 참으로 어려운 것이듯, 갖다가 붙이면 격(格)이 되니, 어떨 때는 엿-장사 마음대로라는 농담이 나올 정도다. 그에도 다 이유는 있다. 물론 타당성(妥當性) 또한 있는 것이고, 다만 얼마나 내가 알아서 취사선택(取捨選擇)을 하는가? 하는 문제에 도달하게 되는데 배우는 과정에 있는 사람도, 가르치는 사람도, 어려움을 토로(吐露)하는데 시작하는 경우는 어떻겠는가? 그렇다고 여기서 물러날 수는 없다.
무(無)에서 시작, 음(陰)과 양(陽)으로 나누어지듯, 그리고 다음의 변화(變化)가 이루어지듯 격국(格局)도 하나하나 큰 줄거리를 찾다 보면 매듭이 풀린다. 그 매듭을 풀어가는 줄거리를 찾는 방법은 무엇일까? 일단 음(陰)과 양(陽)으로 구분을 하듯, 상대적(相對的)인 의미로 분류(分類)를 해보자.
❖ 안과 밖의 개념으로 볼 때----------내격(內格)과, 외격(外格)
❖ 정(正), 편(偏)으로 볼 때----------정격(正格)과, 편격(偏格)
❖ 일반적인 의미, 상황으로 볼 때------ 보통(普通) 격국, 특별(特別) 격국
☞ 이외 다른 말을 갖다 붙인다면 변격(變格)이요, 잡격(雜格)이요, 상격(常格)이요, 정팔격(正八格)이요, 십정격(十正格)이요, 별의별 명칭(名稱)이 다 붙을 수 있다. 결국, 따지고 보면 다 그렇고 그런 것인데, 그 말에 따른 의미도 제각각 갖고 있는 뜻이 특이하고 재미도 있다. 기억하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방법을 택해 각자 선택, 활용하는 것이 최선이다.
격국(格局)의 분류 자체도 이론(異論)이 많으니 어느 것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참으로 곤란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단, 나름대로 정리하여 보았으니 각자 판단, 선택해주기를 바라는 바이다.
❒ 격국(格局)의 분석에 있어서 잊지 말아야 할 사항.
❖ “격국(格局)은 영구(永久)-불변(不變)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변화(變化)하는 것이 격국(格局)이다.
❖ 월지(月支) 자체만 갖고서 격국(格局)을 정(定)하는 것이 아니다. 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투간(透干)한 월지의 지장간(地藏干)이 생극(生剋), 합화(合化)하거나, 지지(地支)의 합거(合去) 변화에 의해서도 격국(格局)은 변화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화를 잘 읽어야 한다. 시주(時柱) 또한 마찬가지다.
✥ 모든 것이 상대적이듯 격국(格局) 역시 내격(內格)과 외격(外格)의 큰 줄기로 나누어진다. 즉 정격(正格), 편격(偏格)으로 나누어진다. 복잡하고, 이것이 과연 맞을까? 하는 걱정은 할 필요 없다. 내격, 외격으로의 구분만 이루어진다면 된다.
✥ 모든 것은 오행(五行)의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이치(理致)에 의한다.
✥ 나름대로 질서(秩序)와 규칙(規則)을 세워야 한다.
순서를 정해 원칙에 입각, 차례대로 분석.
✥ 비슷하다 하여 아!, 같겠구나 하는 생각은 금물(禁物). 변화란 항상 무궁한 것이다. 속단(速斷)은 금(禁)해야 한다.
❒ 격국(格局)의 분류(分類).
❖정팔격(正八格)
❖ 내격(內格 )
❖ 정격(正格)
인수격(印綬格), 편인격(偏印格), 식신격(食神格), 상관격(傷官格)
정재격(正財格), 편재격(偏財格), 정관격(正官格), 편관격(偏官格)
❖ 십정격(十正格)--건록격(建祿格), 양인격(羊刃格) 포함.
격국(格局)
외격(外格), 특별격(特別格), 편격(偏格), 변격(變格), 잡격(雜格)
❖ 전왕격(專旺格)-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 → 곡직격(曲直格)
❖ 종격(從格) 종왕격(從旺格) 염상격(炎上格)
종강격(從强格) 가색격(稼穡格)
종세격(從勢格) 종혁격(從革格)
종아격(從兒格) 윤하격(潤下格)
종재격(從財格)
종살격(從殺格)
❖ 화기격(化氣格) → 화(化)➝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격(格)
❖ 잡격(雜格) : 기타 해당하지 않은 격(格)은 잡격(雜格)으로 취급한다.
종류(種類), 그 변화(變化)가 무쌍(無雙)하여 많은 관찰, 주의가 필요하다.
☞ 격국(格局)의 분류(分流)에 있어, 외격(外格)인 특별 격국은, 내격(內格)인 보통 격국에 우선 적용한다.